templestay

전체메뉴

템플스테이란?

  • HOME
  • 소개
  • 템플스테이란?

템플스테이란?

나를 위한 행복여행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는 1,700년 한국불교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산사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경험하는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입니다. 푸른 자연이 살아있는 맑고 고요한 산사 그 곳에는 우리 민족이 피워낸 소박한 문화와 쌀 한 톨, 한 방울의 물에서 지혜를 찾은 깨달음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바쁜 일상을 벗어나 진정한 행복여행을 찾는 이들에게 템플스테이는 나라와 민족, 문화적 차이와 벽을 넘어 전 세계인을 하나로 잇는 특별한 감동을 전합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기점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된 템플스테이는 이제 200만여 명의 세계인이 함께 하고 OECD가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우수 문화상품'으로 선정한 대한민국 대표 문화체험 콘텐츠로 우뚝 섰습니다.

가족, 학생, 기업, 소외계층까지 우리사회 구성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은 물론 패밀리 브랜드 "아생여당"과 함께 새로운 소통과 만남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템플스테이 아름다운 자연, 역사, 문화가 살아있는 산사에서 한국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소통을 통해 관계를 회복하는 단 하나의 행복여행 템플스테이가 선물합니다.

들리세요?
마음을 여는 소리
들리세요?
나를 깨우는 소리
들리세요?
200만 세계인의 행복을 채워준 소리
나를 위한 행복여행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유형

  • 당일형 프로그램
    당일형 프로그램

    템플스테이에 참가하고 싶지만 사찰에 하루 동안 머무는 것이 여의치 않거나 외국인들이 짧은 시간 틈을 내 한국의 불교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입니다.

    보통 사찰 안내, 참선 체험, 다도 및 만들기(연등, 염주, 사경) 체험을 선택하여 참가할 수 있습니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친구에게 잠시나마 한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 체험형 프로그램
    체험형 프로그램

    체험형 프로그램은 계절 또는 참가자들의 특성에 따라 사찰마다 조금씩 다른 프로그램들이 진행됩니다.

    절 예절, 발우공양, 108배, 연등 만들기, 문화유적 탐방 등 한국의 전통문화와 다양한 불교문화를 경험해 보는 프로그램이나 사찰 주변의 숲 체험, 갯벌 탐사, 야생녹차 만들기 등 자연환경을 이용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전통문화체험은 추석, 설, 연말연초 해돋이 등 시기별로 내용이 다르게 진행됩니다.

  • 휴식형 프로그램
    휴식형 프로그램

    말 그대로 사찰에 머물며 지친 몸과 마음을 잠시 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과 호흡하고 참선과 예불 등을 통해 삶의 에너지를 재충전할 수 있습니다.

    정해진 일과 중에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예불과 공양, 사찰 안내 및 사찰 예절 교육 외의 시간은 자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 소개

  • 01. 사찰안내 불교의 전통과 문화를 느끼는 시간

    사찰순례는 단순히 불교사원을 방문해 보는 것이 아니라 살아 숨쉬는 불교의 전통과 문화를 느끼고 배우는 불교 전통문화 순례의 길이 될 것입니다. 사찰의 구조와 건축, 조각, 공예, 단청 등 각종 불교 문화재들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민족의 전통을 오롯이 간직하고 있기에 사찰순례를 통하여 이러한 의미와 아름다움을 음미해 보는 경험을 해보는 것입니다.

  • 02. 참선 및 명상 고요한 사유, 참선

    참선은 한국불교의 중심이 되는 수행법입니다.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은 일상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며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성찰 과정을 통해 보다 밝고 긍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몸의 깨달음, 명상

    우리 시대 최고의 CEO 스티브 잡스, 농구의 전설 마이클 조던, 비틀스의 존 레논, 영화배우 리처드 기어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꾸준히 명상을 했다는 사실입니다. 청량한 숲과 계곡, 맑은 공기 등 사찰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환경은 도시에서 지나치게 흥분되어 있는 오감을 안정시켜 주는 명상을 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 03. 스님과의 차담 따뜻한 위로가 담긴 차 한 잔, 차담 & 다도

    일반적인 생활과 달리 수행을 하는 스님과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는 것은 템플스테이가 주는 아주 특별한 경험 중의 하나입니다.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보고인 불교 문화에 대한 궁금증뿐만 아니라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고민과 갈등에 대해 특별한 주제 없이 편안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스님과 함께 차 한 잔을 나누는 차담은 템플스테이에서도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 04. 발우공양 수행자의 지혜가 담긴 식사법, 발우공양

    발우는 절에서 스님들이 사용하는 전통 식기를 말합니다. 발우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의식에 따라 식사하는 것을 '발우공양'이라고 하는데, 발우공양은 음식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수고로움을 아끼지 않은 수많은 이들에 대한 고마움과 자연에 대한 감사의 마음 그리고 쌀 한 톨도 낭비하지 않겠다는 절약의 정신이 담겨 있는 지혜의 식사법입니다.

  • 05. 예불 평화와 깨달음을 기원하는 시간, 예불

    사찰의 예불은 하루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가장 기본적인 의식입니다. 어둠이 가시지 않은 새벽 고요한 산사를 깨우는 범종 소리가 울려 퍼지고 법당 안 스님들의 예불 소리와 함께 본격적인 하루가 시작됩니다. 또 해가 넘어갈 때 웅장한 범종 소리가 다시 한 번 예불 시간을 알리면 산사의 모든 이들이 함께 예불을 올립니다. 몸과 입과 마음으로 온 세상이 평화로워지기를 기원하는 매우 특별한 시간입니다.

  • 06. 108배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절 수행, 108배

    108가지 번뇌를 참회하고 씻기 위한 수행법으로 절을 할 때마다 108번뇌도 하나씩 내려놓으면서 자신의 어리석음을 반성합니다. 고로 108배 시간은 내 몸을 낮춤으로써 겸손을 배우고, 새로운 마음을 채우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 07. 연등 및 염주만들기 나와 세상을 밝히는 진리의 등불, 연등만들기

    연꽃 모양의 등을 연등이라고 합니다. 얇은 종이로 만든 연꽃잎을 한 장씩 접어서 풀로 붙이면 아름다운 연등이 완성됩니다. 영원히 꺼지지 않는 지혜를 상징하는 연꽃등은 진흙 속에서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아름답고 깨끗하게 피어나는 연꽃처럼 어리석은 마음을 닦아 깨달음에 이르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진흙속에서도 청정하게 피어나는 연꽃처럼 나의 지혜도 피어오르길 기원하며 색색의 한지를 곱게 붙여 연등을 만듭니다.

    산란한 마음을 동그랗게, 염주만들기

    염주는 깨달음에 대한 기원을 담아 한 알 한 알 구슬을 꿰어 만든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기도용품입니다. 염주 알의 수가 적은 것은 단주(短珠)라고 하고, 보통 108개로 되어 있어서 108염주라고 부릅니다. 염주를 돌리며 108가지 번뇌를 소멸시킨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직접 만든 나만의 염주를 손안에서 굴리다 보면 흐트러진 마음이 한곳으로 모아져 동그랗게 이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준비물

  • 기본적으로 준비하실 물품은 샴푸, 린스, 칫솔, 클렌징폼, 드라이기, 수건, 갈아입을 옷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템플스테이 화장실에는 비누와 치약이 있으며, 입소시 조끼와 바지를 지급합니다.

    다만 사찰별로 지급 및 구비하는 물품이 다르니 예약시 프로그램 설명을 참고해 주세요.

    아울러 한여름을 빼고는 산사의 아침저녁은 추우니 가디건이나 점퍼 등 두꺼운 옷도 잊지 마세요.

 

자주 묻는 질문

Q.혼자 가는데 안전한가요?
 템플스테이 시설은 해당 사찰의 관리감독 하에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숙소의 모든 방은 출입키가 있어야 드나들 수 있으며, 방 내부에 잠금장치가 마련돼 있습니다. 또한, 밤 10시가 넘으면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합니다. 무엇보다 템플스테이 실무자가 사찰에 상주하며 위급상황이나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있으니 안심하세요.
Q.아이와 함께 가고 싶은데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부모님이나 다른 어른들의 동반 하에 참여 가능합니다. 다만 사찰마다 운영 방식이 다르니 사전에 해당 사찰로 꼭 전화 문의해 주세요.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에는 초등학생부터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수련회 형태의 템플스테이도 진행되니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Q.템플스테이는 어떻게 진행돼요?
 1박2일 체험형 프로그램의 경우 오후 2~3시경 입소해 방 배정과 사찰 안내, 절에서의 기본 예절 안내가 이뤄집니다. 사찰에 따라 불교 의식인 사물(四物: 법고·범종·목어·운판) 체험이 진행되며 저녁공양 이후 저녁예불과 108배, 명상 등을 합니다. 다음날 새벽 4시경 새벽예불로 하루를 열며 아침공양, 운력, 스님과의 차담, 소감문 쓰기가 진행되고 점심공양을 끝으로 오후 12시에서 1시경 모든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휴식형은 입소 이후 개인 일정에 따라 자유롭게 시간을 보내면 되며, 당일형은 사찰에 따라 오전 10시나 오후 1시부터 2시간 이상 진행됩니다.
Q.예불이나 108배 등 모든 과정에 다 참여해야 하나요?
 모든 프로그램은 참가자 자율입니다. 몸이 좋지 않아서, 어린이가 따라 하기 힘들어서 등의 이유로 참여가 어렵다면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종교적 신념으로 108배가 부담스럽다면 조용히 앉아 있어도 됩니다. 다만 예불과 108배는 부처님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식이자 자기 수행이므로 색다른 경험이 될 것입니다. 특히 오전 4시경 새벽예불은 산사의 아침을 여는 첫 의식이니, 어둑한 밤을 밝히는 그 풍경을 놓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Q.절에서 지켜야 할 기본 예절은 무엇인가요?
 고성방가와 음주, 흡연 등 사찰 분위기를 흐리는 행위는 할 수 없습니다. 과도한 사랑표현도 잠시 참아 주세요. 사찰 안에서의 기본 자세는 차수(叉手)입니다. 차수는‘손을 엇갈리게 잡는다’는 의미로, 왼손 손등을 오른손으로 가볍게 잡는 자세입니다. 예불할 때는 무릎을 꿇고 앉는데, 오른발을 밑에 두고 왼발을 그 위에 X자로 올려놓습니다. 바깥에서 스님을 만나면 그 자리에 서서 합장 반배를 하며, 실내에서는 스님께 3배나 1배를 합니다.
Q.법당에서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요?
 대웅전 등 법당에 들어갔거나 나가기 전에는 잠시 서서 중앙을 향해 가볍게 합장 반배합니다. 법당 출입은 중앙이 아닌 양 옆의 문으로 합니다. 중앙의 문은 스님들이 출입하는 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법당 가운데는 스님들을 위한 예불 공간이므로 가능한 중앙을 비켜 앉습니다. 법당에서는 큰소리로 말하지 않으며 기도하거나 절하는 사람이 있을 때는 최대한 그 사람 뒤로 다닙니다.